디지털 성범죄 피해자,
신상정보 삭제도 지원! 어떻게 신청하나요?
2025년부터 디지털 성범죄 피해자에 대한 보호가 한층 강화됩니다.
이제는 불법 촬영물뿐만 아니라, 피해자의 이름·직장명·학교 등 신상정보까지 삭제 지원이 가능해졌습니다.
특히 딥페이크, 텔레그램 유포, 온라인 커뮤니티 노출 등으로 2차 피해를 입는 사례가 늘어나면서,
여성가족부는 디지털성범죄 대응 체계를 전면 강화하고 있어요.
이번 글에서는 어떤 경우에 삭제 지원이 가능한지, 어떻게 신청하는지 핵심만 딱 정리해드립니다.
디지털 성범죄 피해자, 신상정보 삭제도 지원! 어떻게 신청하나요?
1. 디지털 성범죄 삭제 지원, 무엇이 달라졌나요?
기존에는 불법 촬영물 중심의 삭제만 가능했지만,
2025년부터는 피해자의 신상정보까지 포함한 삭제 요청이 가능해졌습니다.
- 이름, 나이, 직장, 학교 등 실명 정보 유포
- 커뮤니티·SNS·포털 등 검색 노출
- 합성 이미지, 딥페이크 피해 영상
이는 청소년성보호법 및 성폭력방지법 개정을 통해 법적 근거가 마련된 조치입니다.
2. 삭제 지원 대상과 범위는?
📍 삭제 지원 대상
- 불법 촬영물 피해자
- 딥페이크·합성사진 피해자
- 신상정보가 유포된 피해자
- 청소년·미성년 대상 성범죄 피해자
🧾 삭제 지원 범위
- 인터넷 커뮤니티, 블로그, 포털 검색 결과
- SNS (인스타그램, 페이스북, 트위터 등)
- 메신저 앱 (텔레그램, 카카오톡 등)
- 웹하드 및 불법 공유 사이트
3. 피해자 지원 신청 방법은?
신청기관: 한국여성인권진흥원 디지털성범죄피해자지원센터
전화: 전국 어디서든 1366
신청 방법:
- 여성가족부 통합 홈페이지 www.women1366.kr 접속
- 피해 경로 및 내용 작성 (스크린샷 등 첨부)
- 본인 인증 후 접수 → 담당자 배정 → 삭제 요청 진행
📌 대부분 3~7일 내 1차 삭제 조치가 이뤄집니다.
4. 자주 묻는 질문 Q&A
질문 |
답변 |
이름이나 회사명이 검색 결과에 있어도 삭제 가능한가요? |
네, 2025년부터 신상정보 유포도 삭제 대상에 포함됩니다. |
삭제에 얼마나 걸리나요? |
보통 3~7일 이내 1차 조치가 이뤄집니다. |
법적 조치도 함께 받을 수 있나요? |
예. 필요 시 형사 고소 및 법률상담 연계도 지원됩니다. |
5. 마무리 정리
디지털 성범죄는 단순한 온라인 문제를 넘어선 심각한 인권 침해입니다. 더 이상 혼자 고민하지 마시고,
피해를 입었다면 빠르게 1366 또는 온라인으로 신고하세요.
📌 디지털 성범죄 삭제 지원 신청하기
📚 함께 보면 좋은 글:
한부모가정 복지제도 총정리
시설 퇴소 청년 자립지원금 정리
※ 빠른 신고와 대응이 2차 피해를 줄이는 가장 좋은 방법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