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준 중위소득 100%? 도대체 무슨 말일까?
청년내일저축계좌를 신청하려다 보면 꼭 마주치게 되는 용어가 있습니다.
바로 ‘소득인정액’, ‘기준 중위소득 100% 이하’ 같은 단어들입니다.
처음 듣는 분들은 복잡하게 느껴질 수 있지만, 사실 핵심만 알면 매우 간단합니다.
이 글에서는 청년내일저축계좌 신청 시 가장 중요한 조건 중 하나인 소득인정액 계산 방법과
2025년 기준 중위소득 100%의 의미를 예시와 함께 쉽게 설명해드리겠습니다.
소득인정액이란? 단순 소득이 아니다!
소득인정액은 단순히 내가 버는 월급만 따지는 것이 아니라,
근로소득 + 재산의 소득환산액을 더한 개념입니다.
즉, 월급 외에도 통장에 있는 돈, 부동산, 자동차 등도 일정 부분 소득처럼 환산하여 계산하는 것입니다.
✅ 소득인정액 계산 공식
소득인정액 = 실제 월소득 + (재산 - 기본재산액) × 재산환산율
- 기본재산액: 서울 7,400만 원 / 비수도권 5,200만 원 등 (지역마다 다름)
- 재산환산율: 보통 4.17% / 12 = 월 소득화
예: 순재산 2,000만 원 × 4.17% ÷ 12 = 약 6.9만 원이 소득으로 추가됨
기준 중위소득 100%는 얼마일까?
‘기준 중위소득’은 보건복지부가 매년 발표하는 수치로,
전체 가구의 소득을 100으로 봤을 때 딱 중간값에 해당하는 금액입니다.
📌 2025년 기준 중위소득 100% 월 소득 기준표
가구원 수기준 중위소득 100%
1인 가구 |
2,280,000원 |
2인 가구 |
3,784,000원 |
3인 가구 |
4,846,000원 |
4인 가구 |
5,912,000원 |
청년내일저축계좌 신청 시, 본인이 속한 가구의 소득인정액이 이 수치 이하여야 자격 조건을 충족합니다.
계산이 복잡하다면? 이렇게 확인해보세요
소득인정액은 간단한 계산으로 끝나지 않습니다.
자산 조사, 가족 구성, 지역별 기준까지 복합적으로 반영되기 때문에
직접 계산보다 시뮬레이션 이용이 더 정확합니다.
👇 아래 버튼을 클릭하시면 복지로 공식 시뮬레이터에서 내
소득인정액과 청년내일저축계좌 자격을 확인할 수 있어요.
👉 다음글 : 2025 청년내일저축계좌 해지하면 어떻게 될까?